[책마을] '까칠한 논객'이 건네는 따뜻한 위문편지
작성자 정보
-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34 조회
-
목록
본문
“고백하자면 그동안은 거짓말이었는데요, 이번에는 진짜입니다.”
소설가 이응준(53·사진)은 지난달 28일 서울 서교동의 한 카페에서 신간 산문집 <고독한 밤에 호루라기를 불어라>에 대해 “저는 저를 위해 글을 써온 터라 그간 ‘제 책이 사람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면 거짓일 테지만 이번 책만은 믿을 수 있는 친구의 편지처럼 읽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1990년 시인으로, 1994년 소설가로 등단한 이 작가는 30년 넘게 시, 소설, 산문, 시나리오를 넘나들며 작품 활동을 해왔다. 통일 이후 삶을 조망한 장편소설 <국가의 사생활>은 영국 가디언지가 주목하기도 했다. 신문에 싣는 매서운 시사평론으로 그를 기억하는 독자도 많다.
이번 책은 그의 또 다른 얼굴을 보여준다. ‘자신의 상처를 가감 없이 드러내는 방식으로 타인을 위로하는’ 작가의 면모다. 책을 여는 첫 글은 16년간 함께한 반려견 토토를 떠나보낸 일을 담은 ‘명왕성에서 이별’이다. 이 작가는 토토의 죽음 앞에서 20대 중반, 3년간 암에 걸린 어머니의 대소변을 받아내며 간호하고 끝내 잃었던 경험을 떠올린다. “죽음도 암기과목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죽음을 잊지 않으면 삶의 허튼짓거리들을 그만하게 된다.”
2016년 민음사 계간지 ‘릿터’에 실린 이 글은 소셜미디어에 퍼지며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떠나보낸 이들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됐다. 한 독자는 이런 감상을 남겼다. “이번 릿터는 이응준 작가님의 ‘명왕성에서 이별’ 하나만으로 충분하다.” 이후 어느 독자가 그에게 편지를 보냈다. 약 15년간 단둘이 함께하던 비글을 암으로 잃고서 집 안의 불상을 뒤로 돌려놓을 정도로 세상을 비관했다고 했다. “그분이 ‘명왕성에서 이별’을 하루에도 스무 번 넘게 읽으며 위로받았다고 해서, 내가 오히려 위로를 받았습니다.”
작가로 사는 일이 늘상 아름다울 리는 없다. 이 작가 스스로 “문학의 시대는 끝났다”고 말하는 요즘은 더더욱 그렇다. 그는 “언젠가 TV로 영화 ‘서편제’를 봤는데, 어느 순간 대성통곡하는 나를 발견했다”며 “왜 이렇게 슬픈고 하니 영화 속에서 축음기가 나오고 음반이 유행하는데도 여전히 창을 하는 사람이 바로 나였다”고 했다. 독자들이 하나둘 영상매체로 떠나가는 와중에 문학을 하는 일이 덧없이 느껴졌다는 고백이다.
이 작가는 “이제야 나라 잃은 유민 같은 슬픔에서 벗어났다”고 했다. 독자들과 위로를 주고받은 시간과 더불어, 문학의 시대가 지나간 덕에 소위 ‘문단권력’이 약해지고 ‘좋은 문학’에 대한 담론을 독점하던 사람들이 힘을 잃었다는 깨달음 덕분이다.
책에는 글 쓰는 일에 대한 단상도 녹아 있다. ‘무장시론’이란 글을 통해 그는 선하면서 악하고 서정적이면서 과격한 자신의 ‘모순’에 대해 말한다. 모순은 그에게 글쓰기 동력이자 무기다. 이 작가는 “나의 모순을 받아들이면서 창조적 에너지로 삼게 된 것 같다”고 했다. 표제작 ‘고독한 밤에 호루라기를 불어라’에서 그는 “희망은 쓸쓸하기에 귀하다”고 말한다. “작은 촛불도 아름다운 것은 어둠 때문이다.”
이쯤 되면 ‘논객’ 이응준이 내놓은 서정적이고도 고백적인 이번 산문집은 투항이나 변심이 아니라 또 다른 항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작가는 이미 새로운 책에 대한 계획을 세워뒀다. “신문에 실었던 시사평론을 모아 시대를 정의하고 지성사를 정리하겠다”는 목표다. 그는 “작가라는 건 인간학자이고 근본적으로 사회학자가 아닐 수 없다”며 “작가가 깨어있다면 여러 분야를 섭렵하고 그중 독자들에게 절실한 부분을 대신 울어주기도, 싸워주기도, 화해하기도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은서 기자 [email protected]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관련자료
-
이전
-
다음